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2025. 1. 2. 01:00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학업 중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졸업 후 소득이 발생하면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하는 유연한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출 개념, 조건, 상환 방식, 신청 및 관리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학업과 재정을 동시에 관리하고자 하는 대학(원)생에게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1. 대출 개념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 지원 범위:
    • 등록금 대출: 대학에서 고지한 수납 금액 전액 대출 가능
    • 생활비 대출: 학기당 최소 10만 원에서 최대 200만 원
  • 상환 개념:
    • 학업 중 상환 부담 없음
    • 졸업 후 소득이 발생할 때 소득 기준 초과분의 일정 비율 상환
    • 경제적 어려움 시 상환 유예 가능

https://www.kosaf.go.kr/ko/tuition.do?pg=tuition02

 

한눈에 보는 학자금대출 | 한국장학재단

성적기준 직전학기 성적 70/100점 이상(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의 경우 해당없음), 직전학기 이수학점 12학점 이상* 이수(학점은행제 학습자 학자금대출의 경우 해당없음) * 단, 소속 대학의 학기

www.kosaf.go.kr

 


2. 대출 조건

 연령 기준

  • 학부생: 만 35세 이하
  • 대학원생: 만 40세 이하

 소득 기준

  • 학부생: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 대학원생: 학자금 지원 4구간 이하
  • 상환 기준 소득: 2024년 기준 연간 2,679만 원 (공제 후 1,752만 원)

  •  

 추가 조건

  • 소득 초과 시 상환: 초과 금액의 20% 상환 (학부생 기준)
  • 대학원생의 경우 초과 금액의 25% 상환

대출 한도 및 조건
등록금: 실소요액 전액
생활비: 학기당 150만원 한도


총 한도
대학(전문대학 포함): 4천만원
5·6년제: 6천만원
의·치의·한의계열: 9천만원
금리: 변동금리 적용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http://www.kosaf.go.kr
상담센터: 1599-2000
매학기 신청 필요
등록금대출과 생활비대출은 별도 신청

 

https://youtu.be/Eux02BpUycQ

 


3. 상환 방식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자발적 상환과 의무적 상환, 유예 제도로 나뉩니다.

 의무 상환

  • 조건: 연간 소득이 상환 기준을 초과할 경우 발생
  • 상환 비율:
    • 학부생: 초과 금액의 20%
    • 대학원생: 초과 금액의 25%
  • 예시 계산:
    • 연간 소득 2,500만 원인 경우:
      • 초과 소득: 2,500만 원 - 2,679만 원 = 220만 원
      • 상환 금액: 220만 원 × 20% = 44만 원

 자발적 상환

  • 언제든 가능: 소득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상환 가능
  • 상환 범위: 원금 및 이자 포함
  • 자동이체 가능: 상환 편의를 위한 자동이체 설정 지원

상환 유예

  • 대상: 경제적 어려움으로 소득 발생이 없는 경우
  • 조건: 연간 소득이 상환 기준 미달(1,752만 원 이하)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필요 서류: 재학증명서, 퇴직증명서 등

https://youtu.be/GuNxp77xOEM?si=8Vn-OFaE4z3U96mi

 


4. 대출 신청 및 관리

 신청 절차

  • 신청 경로: 한국장학재단 공식 웹사이트
  • 신청 기간:
    • 등록금 대출: 1월 3일 ~ 4월 25일
    • 생활비 대출: 5월 16일까지
  • 구비 서류: 추가 서류 요청 시 별도 안내

대출 관리

  • 소득 신고:
    • 매년 소득 신고를 통해 상환 금액 조정
    • 미신고 시 불이익 발생 가능
  • 대출금 사용 내역 관리: 재단 홈페이지에서 대출 내역 확인 가능


5. 경제적 어려움에 따른 부담 경감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혜택과 유예 제도를 제공합니다.

  • 소득 없을 시 상환 유예:
    • 소득 기준 미달 시 상환 의무 유예 가능
  • 이자 면제 혜택: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다자녀 가구 지원
    • 대출 실행 시점부터 졸업까지 이자 면제
    •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적용


6. 결론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학업 중 재정적 부담을 덜고, 졸업 후 소득 수준에 맞춰 유연하게 상환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대출 조건과 상환 방식을 명확히 이해하고, 필요 시 유예 및 면제 혜택을 활용하여 학업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지금 바로 학업의 꿈을 실현해보세요! 한국장학재단에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FAQ

1.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이란 무엇인가요?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은 학생들이 학업 중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대출받고, 졸업 후 소득이 발생한 후에 상환하는 제도입니다. 상환은 소득 기준 초과 금액에 따라 유연하게 진행됩니다.

2. 대출받을 수 있는 대상은 누구인가요?

만 35세 이하의 학부생 또는 만 40세 이하의 대학원생이 대상입니다. 학부생은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대학원생은 4구간 이하의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3. 상환은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졸업 후 연간 소득이 상환 기준 소득(2024년 기준 2,679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 금액의 20%를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합니다.

4. 상환 유예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소득이 없거나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상환 유예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재학증명서나 퇴직증명서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5. 생활비 대출은 얼마까지 가능한가요?

학기당 최소 10만 원에서 최대 2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대출금은 본인 계좌로 지급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