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19. 21:21ㆍ카테고리 없음
📋 목차
차량 화재는 예측하기 어려운 사고로, 많은 경우 초기 대처가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차량용 소화기 설치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설치 의무화 배경, 벌금, 안전 효과, 그리고 소화기 선택 방법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JD8N/btsLpPd3o1n/VF3MGNhghkAHkXaZzb2zPK/img.png)
1.🚒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화 배경
차량 화재 사고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차량용 소화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 조치는 사고 발생 시 초기 진압을 통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특히 버스, 화물차 등 대형 차량은 화재 위험이 높아 우선적으로 규제가 적용됩니다.
해당 법규는 교통안전법에 포함되어 있으며,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
초기 화재 진압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반 승용차로도 의무화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화재 원인 분석에 따르면, 전기 합선과 기름 누출이 주요 원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차량 소화기 설치는 운전자와 승객 모두의 안전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국민들의 안전 의식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IMM8/btsLoqsN6Ar/P8mHbJfq6KL2UqFTueF8q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WwhK/btsLqBTUPV4/6Rjnf5C1vMVK2jtK0aKxw0/img.png)
2.🔥 미설치 시 벌금과 처벌
차량용 소화기 미설치 시, 법적 처벌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 법에 따르면, 대형 차량의 경우 최대 3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반 승용차의 경우 아직 법적 의무화가 아니지만, 추후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사고 발생 후 소화기 미설치로 피해가 확대된 경우, 민형사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 미비는 차량 안전 점검에서 감점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벌금뿐 아니라 보험 가입 시 할증 요인으로 적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적, 법적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소화기 설치는 필수적입니다.
소화기 설치는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사고 예방의 필수 장치로 여겨져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Gqit/btsLp8dkQbA/irYF4aw4jQBVB2KXuM2VP1/img.png)
3.🔥 모든 차량에 설치 해야 될까요?
이번 의무화 조치는 올해 12월 1일 이후 제작, 수입, 판매되는 차량과 중고로 거래되는 차량에 적용됩니다.
기존에 등록된 차량은 의무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소화기를 자발적으로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요.
현재 7인승 이상 차량의 경우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으면 최대 6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지만,
5인승 이상 차량에는 별도의 처벌 규정이 없습니다.
하지만 소화기의 가격이 약 2만 원 선으로 큰 부담이 되지 않는 만큼, 소방청에서는 강제 처벌보다 자발적인 비치를 유도하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미지에 있는 내용을 표로 재작성한 것입니다:
승용자동차 | 5인승 이상 | 1단위 (0.7kg) 소화기 1개 |
승합자동차 | 경형 (1000cc 미만) | 1단위 (0.7kg) 소화기 1개 |
소형 (15인승 이하) | 1단위 (0.7kg) 소화기 2개 또는 2단위 (1.5kg) 소화기 1개 | |
중형 (16~33인승) | 2단위 (1.5kg) 소화기 2개 | |
대형 (36인승 이상) | 3단위 (3.3kg) 소화기 1개 + 1단위 (0.7kg) 소화기 1개 |
4.🚒 차량용 소화기는 어떤 제품을 설치 해야 되나요?
![](https://blog.kakaocdn.net/dn/cyOZRR/btsLqBGmy9x/tmaAgGg9SRwfJPDDy7bQA0/img.png)
자동차 겸용 소화기란?
일반 분말소화기의 성능 시험과 진동, 고온시험 등을 거쳐 부품이 이탈, 파손, 변형 등의 손상이 없는지 테스트를 마친 소화기.
반드시 차량요겸용 이라는 표기가 되어 있어야 됩니다.
자동차 겸용 소화기는 인터넷에서 구입하실 수 있으며,
구입하실 때 한국소방산업기술원 KFI 인증 마크가 있는지 확인하시고 인증된 제품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 전기차 화재 뉴스도 많이 들려오고 안전을 위해서 꼭 하나씩 차량에 구비하셔서, 혹시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25,000원 ~ 40,000원 정도 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소화기 유효기간이 보통 10년 정도 된다고 하니 이번 기회에 트렁크에 있는 소화기 유효기간도 한번 체크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현재 대형 차량은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며, 일반 차량도 점차 의무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3~5년마다 교체가 권장되며,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합니다.
가정용보다 작은 크기의 차량용 ABC 분말 소화기가 추천됩니다.
운전석 근처 또는 트렁크 등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보관하세요.
핀을 뽑고, 노즐을 화재 부위로 향한 뒤 손잡이를 눌러 방출하세요.
현재 대형 차량은 필수이며, 승용차는 권장 사항입니다.
소방서나 전문 소화기 점검 업체를 통해 가능합니다.
화재 진압 시 사용된 소화기는 보험 처리가 가능합니다.